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예쁨 주의] 조선의 밤을 밝혔던 조명기구들.jpg

by cutekorean 2024. 6. 21.

목차

    [예쁨 주의] 조선의 밤을 밝혔던 조명기구들.jpg

    국가유산청
@chlove_u
팔로우
...
소장욕구 불러일으키는 이 조명들은 조선 왕실에서 사 용하던 #조명기구 예요. 조선 왕실 조명기구는 기름 (등유)과 초가 사용된 전통식 등기구에서 개항 후 전깃 불이 켜지기까지 시대와 용도에 따라 변화하며 궁중의 밤을 밝혀왔어요.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트윗으로 이동합니다.
    구형(球形) 괘등(掛燈). 괘등이란 어딘가 높은 곳에 걸어두고(걸 괘掛) 사용하는 등이라는 뜻이다. 원래는 초를 꽂아 사용하였지만, 석유의 유입으로 등유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팔각(八角) 구슬등(珠燈). 내부에 초 받침이 있고 긴 손잡이가 달려있어 분리하여 다 쓴 초를 바꾸어 넣는 데 용이하게 했다.
    육각(六角) 괘등(掛燈). 양쪽 이음새에 용머리 형상이 조각되어 있고 상단 여섯면에 식물 문양이, 하단 여섯 면에 단순한 장식 문양이 모두 간유리로 표현되어 있다. 중단 네 면에는 식물문양이 간 유리로 표현되어 있으나 두 면에는 육필로 매화 및 난초가 그려져 있으며 짧은 시구가 적혀있다.몸체 내부에는 초꽂이가 있고 상부에는 호리병 모양의 장식 위로 고리가 있어 처마 등에 걸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화문(李花文, 오얏꽃무늬) 샹들리에(二段多燈式掛燈, 2단 다등식 괘등, Chandelier), 1900~1910년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 사(GE, General Electric Company)에서 만들어진 전기 등기구이다.

    국가유산청
@chlove_u
팔로우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명기구 유물을 총정리했습니 다! 일괄적으로 묶어 소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공간과 시대를 밝혀낸 조명이야기, 고궁박물관 홈페이 지에 올려뒀어요. #조명백과(
소장품 도록 : 조명기구
gogung.go.kr/gogung/bbs/BMS...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트윗으로 이동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도록 '조명기구' PDF 파일 무료 다운로드 링크

    링크 주소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도록 PDF 파일 다운로드 바로가기 - 발행년도 2023년, 375p, 약 180mb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문화와 역사의 이해를 돕는 좋은 동반자, 국립고궁박물관

    www.gogung.go.kr

    초화문(草花文, 풀과 꽃 그림) 사각(四角) 좌등(座燈, 앉은뱅이 등, 바닥에 내려놓고 쓸 수 있는 등). 아래에 서랍이 있어 불을 밝히는데 필요한 소도구를 넣을 수 있다.
    초화문(草花文) 호형(壺形) 등(燈). 연둣빛 바탕의 유리면에 잎과 어우러진 흰색 꽃을 채색하였다.
    이화문(李花文, 오얏꽃무늬) 샹들리에(一段多燈式掛燈, 1단 다등식 괘등, Chandelier). 청동제 주물로 조선왕실의 상징인 이화문(李花文)이 장식된 것으로 보아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 사(GE, General Electric Company)에 주문제작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
@chlove_u
#조선시대_방꾸집꾸템
    방 꾸미고 집 꾸미는 힙한 조선시대 꿀템들.
    초화문(草花文) 구형(球形) 등갓(燈笠). 얼핏 단순해 보이지만, 사실 구형의 투명한 몸체 위에 우윳빛 백색 유리를 덧씌워 2개의 유리층을 만든 후 식물 문양 도안을 컷팅해 장식한 것이다.
    초화문(草花文) 구형(球形) 등갓(燈笠). 등기구의 전체를 꽃무늬로 꾸미는 것은 1890~1910년대 유행했던 석유등 양식으로, 주로 거실이나 응접실을 꾸미는데 사용되었다.
    기름통(油壺, 유호, Oil Pot). 등유를 보관하는 데 쓰인 기름병이다.

    이거 다 현대에 만들어진거 아냐? 알고보니 찐 100년전 유물들

    1901년 신축진찬도 병풍에 담긴 궁궐 밤잔치 풍경. 위 등기구들은 복원품이 아니라 실제로 궁궐에서 사용되었던 것들이다. 100년 전 유물들인 것이다.
    구형등과 괘등이 대궐 천장에 달려있다.
    촛대 또한 곳곳에 세워져 있다.

    DIY 제품으로 만들어 팔리는 국립고궁박물관 굿즈, 사각유리등 품절 행진

    사각(四角) 괘등(掛燈).
    老幹瘦枝蒼幾許, 늙은 줄기 여윈 가지는 얼마나 창창한가, 원굉도袁宏道(1568~1610년), <간매看梅〉
    此花開盡更無花 歲在丙午仲春, 이 꽃이 다 피고나면 또 무슨 꽃이 있으리, 병오년 음력 2월 원진元稹(779~831년), 〈국화菊花〉
    眾鳥高飛盡 孤雲獨去閑, 뭇새들 높이 날아 사라지고 외로운 구름 홀로 한가로이 떠가네, 이백李白(701~762년),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
    南枝向暖北枝寒 歲在丙戌季秋口, 남쪽 가지는 따뜻한 볕을 향하는데 북쪽 가지는 차가운 채로 있네, 병술년 음력 9월 관매여선觀梅女仙, 〈제벽題壁〉
    알록달록한 색감이 매력적인 조선시대 사각 유리등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판매하는 사각유리등 DIY 키트를 조립한 완성품의 모습.
    조립된 DIY 사각유리등을 처마 밑에 매단 모습.
    한국문화재재단 KH몰에서 팔리는 조선왕실등 DIY 사각유리괘등 굿즈.

    조선왕실등 만들기 키트 조립영상 DIY kit 한국전통문화상품 K-HERITAGE
    상품페이지 : 조선왕실등 만들기 키트 - 한국문화재재단 KHmall

     

    한짤로 보는 조선시대 설탕이 귀했던 이유.jpg
     

    한짤로 보는 조선시대 설탕이 귀했던 이유.jpg

    한짤로 보는 조선시대 설탕이 귀했던 이유.jpg 천연 설탕을 만들 때 쓰이는 작물, 사탕무와 사탕수수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사탕무 혹은 설탕무(Sugar beet)

    lovelykorean.tistory.com

    [팩트] 조선에서 발명한 핵융합 에너지로 작동하는 시계.jpg
     

    [팩트] 조선에서 발명한 핵융합 에너지로 작동하는 시계.jpg

    [팩트] 조선에서 발명한 핵융합 에너지로 작동하는 시계.jpg이미 중화는 망한 지 오래요! 이제 우리가 중화를 계승하리라!.jpg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우리가 '진정한 중화의 " data-og-host="l

    beautifulkorean.tistory.com

    조선시대 부자의 대명사, 경주 최부잣집 가문 이야기.jpg
     

    조선시대 부자의 대명사, 경주 최부잣집 가문 이야기.jpg

    조선시대 부자의 대명사, 경주 최부잣집 가문 이야기.jpg경주 최씨(慶州 崔氏)의 본관은 경상북도 경주시로, 사로(斯盧) 돌산 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村長)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를 비조

    luckykorean.tistory.com

    조선시대 배경에 어색하지 않게 PPL 넣는 방법.gif
     

    조선시대 배경에 어색하지 않게 PPL 넣는 방법.gif

    조선시대 배경에 어색하지 않게 PPL 넣는 방법.gif MBC 사극 드라마 연인 남궁민 고기구이 쌈싸먹기 먹방 MBC 사극 드라마 연인 용골대 고기 먹방 PPL 원본 영상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MBC

    brilliantkorean.tistory.com

    16세기 조선시대 할아버지의 육아일기, 양아록(養兒錄)
     

    16세기 조선시대 할아버지의 육아일기, 양아록(養兒錄)

    16세기 조선시대 할아버지의 육아일기, 양아록(養兒錄) 양아록(養兒錄)의 뜻은 '아이를 키우면서 쓴 기록'이라는 의미이며, 16세기 조선시대의 선비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 1494∼1567)이 쓴 책

    brilliantkorean.tistory.com

    2024.03.27 - [생활 정보] - [펌 스압] 조선왕조가 500년을 간 이유.txt

     

    [펌 스압] 조선왕조가 500년을 간 이유.txt

    [펌 스압] 조선왕조가 500년을 간 이유.txt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강연 녹취록 2010년 6월 17일 강연 중 일부분입니다. ◈ 한국역사의 특수성 ○ 미국이 우주과학을 발전시키기 위

    cutekorean.tistory.com

    반응형